• 매스커뮤니케이션이론(Theories of Mass Communication) [석사필수]
미디어와 사회, 현대정치와 미디어, 인터넷과 정보사회, 언어와 의사소통, 매체철학, 미디어 경제학, 방송제작, 광고 홍보, 광고 제작, 언론과 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미디어 연구방법(Methods of Researching Media) [석사필수]
이 강의는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차용한 미디어연구의 방법 및 사례를 제시하여 수강생으로 하여금 미디어연구의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본 강의는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이해하고, 미디어 연구방법 숙지하며, 통계패키지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미디어 비평(Media Criticism)
미디어 비평 교육은 미디어를 둘러싼 사회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미디어 비평 수업은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출현에 따라 기존의 관련 법제를 통해 규제가 어려운 비윤리적 사안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뉴미디어 비평’에 초점을 둔다. 매일 접하는 미디어 현상에 대한 비판적 안목과 수업시간에 학습한 윤리이론의 현실적용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언론학 개론(Introduction to Journalism)
언론학 연구의 이해를 시작으로 언론미디어 발달사, 언론의 기능, 뉴미디어방송과 텔레비전,라디오,출판의 현황과 특징을 학습한다.
• 아동, 청소년과 미디어(Children, juveniles and Media) [박사필수]
본 강의는 매스미디어가 아동과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주제는 아동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 및 내용이 지각, 감정, 행동, 교육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포함한다.
•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의 본질(Nature of Speech Communication) [전공필수]
<스피치커뮤니케이션>은 21세기를 사는 한국인에게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다루는 실용적 교과목이다.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말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기본 원칙을 습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제 스피치 기술을 연마하는데 목표를 둔다.
• 미디어와 사회(Media and Society) [전공필수]
현대 사회에 구조화 되어 있는 미디어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미디어 이해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배경이 되는 지식을 제공한다. 현대의 미디어는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를 넘어서 인간 신체기능의 연장이며 미디어 자체가 곧 메시지가 될 수 있는 위력을 학습한다.
• 디지털미디어개론(Introduction to Digital Media) [전공필수]
정보사회의 발달로 새롭게 등장하는 다양한 미디어의 개념과 특징, 구성요소 및 원리를 이해하고 미디어의 발전과정, 제작과정, 미디어 편집에 대해 학습한다.
• 사이버 커뮤니케이션(Cyber Communication)
사이버커뮤니케이션 관련 다양한 개념 및 기본 속성을 익히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현상 및 사례 살펴봄으로써 사이버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변화에 대한 심층 탐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방송의 이해(Understanding Broadcasting)
현대사회의 대표적 매스미디어인 방송의 의미를 사회적 차원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방송의 사회적 기능을 비롯하여 역사, 제도, 프로그램, 수용자, 기술 등 방송과 관련된 각 부문 별 특성을 개관하면서 방송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방송콘텐츠 기획, 제작(Planning & Producing of Broadcasting Content)
이 과목은 다중매체 시대의 텔레비전 방송 제작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방송영상 콘텐츠의 기획과 유형별 제작과정을 심도있게 탐구한다. 방송 콘텐츠의 창의적 기획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으로 방송 콘텐츠 개발 사례의 분석을 통해 방송 콘텐츠의 기획방안과 주요 고려사항 등에 대해 배운다.
• 홍보론(Theory of Promotion)
본 강좌는 효과적인 PR 전략 수립의 수단을 파악해 보고,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을 더해가는 PR의 정의와 형태, 역사를 알아본다. 특히, PR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각종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PR의 사회적 기능과 윤리적 문제를 점검한다.
• 온라인 뉴스취재와 기사쓰기(On-line News Reporting & Writing)
언론은 뉴스를 둘러싼 모든 활동을 뜻한다. 자유로운 언론은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필수 요소이다. 뉴스, 혹은 언론은 매체에 따라 특징을 달리하는데, 특히 인터넷의 등장은 뉴스의 생산과 소비 행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강의에서는 언론과 저널리즘 글쓰기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온라인 매체의 특성을 살린 기사 취재와 작성법, 그리고 온라인 저널리즘 윤리와 법제를 학습한다.
• 소셜미디어(Social Media)
이 과목은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특성과 서비스 유형 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의 생태계를 조망하고, 소셜 미디어가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는데 목표가 있다.
• 디지털영상연출(Digital Video Producing)
비디오 매체를 통한 영상물을 제작의 핵심인 연출을 이해하고, 직접 카메라를 통해 배우, 스텝, 주변 환경과 연출자의 관계 및 창의적 연출 기법을 학습한다.
• 디지털오디오(Digital Audio)
디지털 오디오의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편집 작업과정을 통해 이를 멀티미디어 타이틀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대중문화론(Theory of Mass Culture)
미디어의 유래나 작용, 변혁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며, 20세기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을 재검토하면서 이론적 한계를 지적하고 미디어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학습한다.
• 미디어 비즈니스(Media Business)
미디어 산업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어떻게 산업구조와 경영전략을 변화시키면서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고 있고, 사회 전반에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는가를 학습한다.
• 대중문화와 영화비평(Mass Culture and Film Criticism)
이론적 학습이 바탕이 된 실험, 실습 및 분석은 우리의 삶,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와 각종 대중문화 현상들, 그리고 영상매체와 영화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성찰해보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영상매체의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영상문화에 대한 철학적 이해 및 사회적 이용방식과 그 대중문화적 함의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되고 있는 현시대에, 본 수업은 대중문화와 영화매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이론적, 실용적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주안점을 둔다.
• 논문연구세미나Ⅰ(Seminar of thesis StudyⅠ)석사과정
학위논문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이론과 사례를 다룬다.
• 독립연구(Ⅰ) (Independent Study Ⅰ) 박사과정
제반 이론 및 실무를 습득한 것을 기초로 스스로 정한 테마를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도록 배양시킨다.
• 독립연구(Ⅱ) (Independent Study Ⅱ) 박사과정
제반 이론 및 실무를 습득한 것을 기초로 스스로 정한 테마를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심화연구를 진행하도록 하여 독자적인 연구능력을 배양시킨다.
• 해외연수(Overseas Studies)